본문 바로가기

등산정보

불광역코스

◆ 산행 기점

불광역(3, 6호선), 독바위역(6호선)


◆ 코스 개요

 

불광역은 북한산의 여러 등산로의 이동하기 위한 중요한 출발점이다. 족두리봉으로 가는 사람들은 불광역에서 걸어서 들머리까지 이동하며, 구기동 방향의 이북오도청(비봉매표소, 탕춘대성매표소), 구기매표소, 승가사매표소 또는 더 멀리 평창동의 평창매표소나 형제봉매표소를 찾는 등산객들은 2번 출구로 나온 후 버스를 타고 이동한다.

 

불광역에서 걸어서 가는 코스는 족두리봉 남서릉, 남릉(용화Ⅰ 용화Ⅱ매표소), 북서릉(정진매표소) 등 여러 코스가 있으며, 이 중 대호매표소는 남서릉길이다.

 

족두리봉 남서릉코스는 지하철에서의 접근성과 전망이 좋고, 바윗길이지만 위험한 구간이 없어 산악회뿐만 아니라 일반인들도 가장 많이 찾는 코스 중 하나이다.


한편 지하철 6호선 독바위역 또한 북한산 산행의 중요한 출발점. 독바위역 1번 출구로 나와 좌측으로 400미터 걸어가면 보이는 불광중학교에서 불광매표소 방향이나 선림매표소, 기자촌매표사 방향으로 갈 수도 있으나, 그 외의 길은 전부 족두리봉으로 향한다.

 

독바위역에서의 코스는 두가지이다. 첫 번째는 독바위역에서 길을 건너 좌측으로 걸어가 처음으로 나오는 골목으로 들어간 다음 정진매표소로 가는 방법, 두 번째는 독바위역 우측으로 약500m 걸어가 한국유통 불광점과 대호아파트 앞(불광역에서 걸어서 오는 길과 만남)으로 들어가 족두리봉 남서릉으로 오르는 방법이다.

 

 

◆ 위치

 

지하철 3호선 불광역에서 9번 출구로 나오면 사거리. 기자촌 가는 큰길로 향한다. 약500m(6~7분 소요) 걸어가면 한국유통 불광점과 대호아파트(독바위역에서 걸어올 경우에도 약500미터)에 도착한다. 거기서 우측 완만한 동네 비탈길로 접어든다.

 

약150m 가면 오르면 남해그린아파트 맞은편(삼환그린파크 옆)으로 산으로 가는 돌계단길이 보인다. 돌계단길을 오르면 본격적인 산길이 시작되고 50m 오르면 울타리. 울타리 20m 전방에 매표소가 있다. 불광역에서 약10분 소요.


전철 6호선 독바위역을 나와 우측으로 약500m 걸어가면 한국유통 불광점과 대호아파트 앞에서 불광역에서 오는 길과 만난다. 

 

 

◆ 소요시간

 

불광역~(6분)~대호아파트(가락불광공판장)~(4분)~남해그린힐아파트~(35분)~산불감시초소~(4분)~족두리봉 : 약49분 소요

 

 

◆ 산행안내

 

족두리봉 남서릉길은 대부분 바윗길이다. 약7~8분 오르면 너른 공터. 여기서 대체로 호흡을 고르며 산행준비를 한다. 이후 다시 가파른 길은 7~8분 오르면 주위가 훤히 터지면서 평탄해진다. 전망좋고 쉬어가기 좋은 바위지대이다. (예전에는 불광사에서 올라오는 길이 있었으나 지금은 폐쇄됨)이다. 연신내와 독박골, 불광동 방향으로 빽빽한 집들과 건물들이 시원하게 내려다보이며 족두리봉으로 오르는 암릉길도 한눈에 들어온다.

 

잠시 평탄한 길, 이후 다시 한차례 가파른 바윗길이다. 위험한 곳은 없고 아기자기한 재미를 느낄 수 있다. 한차례 고비가 끝나면 산불감시초소까지는 평탄. 바로 위에 족두리봉이 있다.

 

 

용화Ⅰ매표소

 


■ 산행 기점
불광역

 

■ 코스 개요


독박골에서의 산행은 전부 족두리봉으로 향한다.


들머리는 독박골 버스정류장에서 구기터널 방향으로 약 100m 올라간 지점에 있는 「대교정」이라는 식당에서 용화Ⅰ, Ⅱ매표소 또는 약사사 방향(현재 폐쇄됨)으로 오르는 길, 독박골 버스정류장에 있는 장소에서 불광사(불광매표소 앞에 있는 불광사와는 다른 절) 방향으로 오르는 길(현재 폐쇄됨), 대교정에서 구기터널 방향으로 200m (버스정류장에서 약300m 올라간 지점)더 올라가 포도밭가든으로 오르는 길(철문 통과)(현재 폐쇄됨), 구기터널 직전에 있는 구기터널매표소 길 등 여러 가지가 있다.


물론 각 코스마다 오르는 방향은 조금씩 다르다. 이 중 대교정을 기점으로 하는 용화Ⅰ, Ⅱ매표소 길이 족두리봉 남릉으로 오르는 코스로써 다소 위험하지만 족두리봉 가는 길 중 가장 재미있고 아름다운 코스이다.
휴일이면 불광역에서 구기터널로 걸어가는 등산객의 대부분이 용화매표소로 향하는 사람들이다.    

 

■ 위치


지하철 불광역에서 2번출구로 나와 구기터널 방향으로 약1km(약14분 소요) 정도 걸어가면 독박골버스정류장(불광사 입구)을 지나 「대교정」이라는 식당을 볼 수 있다. 독박골로 불리는 동네로 도로 맞은편으로는 약수터가 보인다.
이 지점이 족두리봉 남릉으로 가는 용화Ⅰ매표소, 용화Ⅱ매표소 갈림길.
좌측 골목으로 접어들어 약30m 가면 우측으로 용화사(통나무집 옆)가는 길이 있다. 그 길을 따라 약150m 가면 매표소에 도착한다.

 

■ 소요시간


불광역∼(14분)∼독박골(대교정)∼(4분)∼용화Ⅰ매표소∼(1분)∼갈림길∼(10분)∼능선(용화Ⅱ매표소와합류)∼(1분)∼상석∼(1분)∼바윗길시작∼(4분)∼너럭바위지대상단부∼(7분)∼추모비∼(2분)∼족두리봉능선∼(2분)∼족두리봉 : 약46분 소요 (우회길 기준)

 

 

■ 산행안내

 

매표소를 지나 10m 전방에서 길이 갈라진다. 정면 바윗길은 족두리봉 남릉으로 가는 길로써 남릉상에서 용화Ⅱ매표소에서 올라오는 길과 만난다. 약간 좌측길은 족두리봉의 남릉상의 슬랩 바로 밑으로 붙거나 족두리봉 옆의 산불감시초소로 오르는 길이다.


일반적으로 정면 바윗길을 거쳐 족두리봉으로 오른다. 좌측길은 위로 올라갈수록 길 흔적이 희미해지고 바위가 많아 길 찾기가 까다롭다.

 

(정면바윗길)


정면 바윗길을 따라 5분 정도 급경사 지대를 오르막 전망이 좋아지기 시작한다. 다시 4분 정도면 전망바위. 바로 위 20m 지점이 용화Ⅱ매표소에서 올라오는 길과 만나는 능선에 오른다.
여기서 완만한 길을 따라 약15m 앞에 무덤에 있던 상석이 있다. 무덤은 흙이 깎여 흔적을 찾아보기 어렵다. 상석 10m 앞에서 본격적으로 바위지대가 펼쳐진다. 약50m 정도 바윗길이 이어지고 그 위는 쉬어가기 좋은 너럭바위 지대이다. 족두리봉 슬랩과 우측의 대슬랩, 비봉남릉 및 탕춘대성이 잘 보이는 곳이다.


맨 위의 너럭바위를 지나 20m 쯤 가면 갈림길. 직진하는 길은 슬랩으로 오르는 길, 우측길은 슬랩을 우측으로 우회하여 오르는 길이다.


직진하는 길에서 만나는 슬랩이 초중급코스, 거리가 약40m 정도로 중간 지점이 조금 까다롭다. 슬랩을 우측으로 우회하는 길은 위험하지 않다. 약7분 오르면 예전 추모비가 있던 전망바위. 여기서 1분이면 족두리봉 능선에 오른다. 능선에서 족두리봉까지는 약50m 거리.

 

한편 슬랩 우회길로 가다보면 우측으로 대슬랩을 볼 수 있다. 공룡발자국같이 바위가 파인 자국이 있는 슬랩. 처음 슬랩보다는 다소 까다롭고, 이 대슬랩 우측으로 더 가면 암벽등반 훈련장소이다. 즉 족두리봉을 중심으로 우측으로 갈수록 경사도가 심해진다.

 

(좌측길)


매표소를 지나 10m 갈림길을 지나면 처음엔 길이 뚜렷하다. 점차 등산로는 경사가 급해지며 돌이 많은 길로 변한다. 약6분이면 우측으로 거대한 바위슬랩지대를 만난다. 이 슬랩이 아래에서 쳐다보기보다는 조금 까다로운 길. 슬랩위를 오르면 남릉상의 너럭바위 지대로 오른다. 이후는 위의 산행안내 참조.

 

한편 바위슬랩지대에서 직진하면 얼마간은 길이 뚜렷하지만 곧 길 자취가 희미하다. 앞을 가로막는 거대한 바위들. 아무 바위나 붙잡고 올라도 족두리봉으로 갈 수는 있다. 우측으로 붙는 기분으로 오르면 남릉으로 좌측이나 직진한다는 기분으로 오르면 족두리봉 삼거리에 있는 산불감시초소 근처로 오른다. 길이 희미하여 별로 추천하고픈 코스는 아니다.  

 

 


〈용화Ⅱ매표소〉

 


■ 산행 기점
불광역

 

■ 코스 개요
용화Ⅰ매표소 참조

 

■ 위치


지하철 불광역에서 2번출구로 나와 구기터널 방향으로 약1km(약14분 소요) 정도 걸어가면 독박골버스정류장(불광사 입구)을 지나 「대교정」이라는 식당을 볼 수 있다. 독박골로 불리는 동네로 도로 맞은편으로는 약수터가 보인다.
이 지점이 족두리봉 남릉으로 가는 용화Ⅰ매표소, 용화Ⅱ매표소 갈림길.


대교정 식당을 끼고 울타리 사이로 들어가면 좁은 동네길을 지나 바로 족두리봉에서 남쪽으로 뻗어내린 능선으로 오른다. 한동안은 오르막이지만 약7분 정도 오르면 완만해진다. 족두리봉의 웅장한 모습이 높이보다 훨씬 규모가 있어 보인다.
평탄한 길을 따라 소나무 숲 터널을 지나 3분이면 매표소에 도착한다. 

 

■ 소요시간


불광역∼(14분)∼독박골(대교정)∼(10분)∼용화Ⅱ매표소∼(4분)∼능선(용화Ⅰ매표소와합류)∼(1분)∼상석∼(1분)∼바윗길시작∼(4분)∼너럭바위지대상단부∼(7분)∼추모비∼(2분)∼족두리봉능선∼(2분)∼족두리봉 : 약45분 소요

 

 

■ 산행안내


매표소 좌측을 지나면 오르막길. 약4분 정도 오르면 능선. 여기서 용화Ⅰ매표소에서 올라오는 길과 만난다.

 

아후 용화Ⅰ매표소에서 산행안내와 동일


 


〈독박골 기타 길〉

 


■ 코스 개요


용화 Ⅰ, Ⅱ매표소길 이외에도 약사사코스, 불광사코스, 포도밭가든코스 등이 있으나 현재(2004. 10. 31) 족두리봉 주위로 거대한 울타리 장벽이 설치되어 모두 폐쇄되어 있다.

 


【대교정-약사사 코스】(폐쇄됨)

 

◆ 소요시간
독박골(대교정)∼(31분)∼족두리봉서릉∼(5분)∼산불감시초소∼(4분)∼족두리봉 : 약40분소요

 

◆ 산행안내
대교정에서 약30미터 직진하여 용화사갈림길을 지나 20미터 더 가면 우측으로 약사사가는 골목이 나온다. 이 코스는 남릉과는 완전히 다른 길이다. 이 길은 족두리봉 서릉상에서 남쪽으로 뻗어내린 또 다른 남릉길이다. 바윗길이지만 위험한 곳은 전혀 없다. 입구에서 30분이면 족두리봉서릉에 오른다. 능선 좌측으로는 불광동 대호아파트로 하산하는 길이다. 능선에 오르면 산불감시초소는 평탄한 길.

 

〈구기터널매표소〉


위치
불광사거리에서 구기터널 방향으로 가다보면 구기터널 지나기 직전에 좌측으로 매표소가 있다.


코스 개요

구기터널매표소 코스는 네 가지로 나누어진다. 첫째는 족두리봉 북릉상의 족두리봉 턱밑으로 오르는 길, 두 번째와 세 번째는 족두리봉에서 향로봉으로 이어지는 북릉상의 송전탑 또는 사거리안부로 올라 향로봉으로 향하는 길, 네 번째는 탕춘대성으로 올라 향로봉으로 가는 길이다.

첫 번째 길은 족두리봉만을 목표로 할 때는 이용되지만 향로봉등 다른 코스와 연결을 고려할 때는 족두리봉을 올랐다 다시 돌아와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잘 이용되지 않는다. 족두리봉과 향로봉을 연결하는 코스는 독박골 코스가 더 안성맞춤이다.

향로봉으로 막바로 오르기 위해서는 주로 세 번째 코스 또는 네 번째 코스가 이용되며 두 코스는 각기 다른 길을 거쳐 향로봉 직전의 위험구간 아래에서 만난다.



【족두리봉 코스】

소요시간

구기터널매표소∼(0.4km,7분)∼향로봉갈림길∼(0.2km,4분)∼갈림길∼(0.7km)∼(4분)∼지능선∼(13분)∼주능선(족두리봉에서 향로봉으로 가는 능선)∼(2분)∼족두리봉앞 갈림길∼(10분)∼족두리봉 : 약40분 소요


산행안내

이 코스는 족두리봉의 북릉(향로봉으로 이어지는 능선)상의 족두리봉 덕밑으로 올라가는 길이다. 족두리봉만을 목표로 할 경우 주로 이용되는 코스로 향로봉으로 가기 위해서는 올라갔다 다시 내려와 반대로 가는 불편을 감수해야 한다.

구기터널매표소(비봉 2.4km, 불광매표소 2.6km)를 지나면 바로 철다리를 건너고 등산로는 계곡 옆으로 비교적 평탄하게 이어진다. 약7분이면 갈림길(↑족두리봉 0.9km, →향로봉 1.4km, ↓구기매표소 0.4km)에 이른다. 여기서 직진하는 길은 족두리봉 또는 각황사로 향하고, 우측길은 탕춘대성을 거쳐 향로봉으로 가거나 불광매표소로 넘어가는 족두리봉 북릉상의 안부로 오를 수 있다.

직진하여 다시 4분이면 이정표(←족두리봉 0.7km, ↓구기매표소 0.6km)를 만난다. 이제부터 가파른 오르막길이다. 좌측 비탈 사면으로 붙어 한차례 땀을 흘리면 지능선에 오른다. 여기서 북동릉까지는 약13분 소요된다. 주능선에서 족두리봉은 좌측이다. 우측으로 가면 향로봉으로 갈 수 있다.

족두리봉 앞(독박골입구 1.2km, 불광매표소 1.5km)에 서면 족두리봉의 거대한 슬랩바위가 앞을 가로막고 있다. 이정표에서 좌측 하산길은 독박골의 포도밭가든으로 향한다. 족두리봉을 정면으로 오르는 길은 암릉등반 경험을 요하므로 자신이 없으면 우측으로 이어지는 우회길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황사 코스】

소요시간

구기터널매표소∼(0.4km,7분)∼향로봉갈림길(A)∼(0.2km,4분)∼족두리봉갈림길∼(2분)∼각황사∼(2분)∼능선∼(15분)∼송전탑(주능선) : 약30분 소요

·송전탑∼(10분)∼족두리봉아래(독박골입구 1.2km, 불광매표소 1.5km)∼(10분)∼족두리봉
·송전탑∼(4분)∼사거리안부(향로봉 방향)


산행안내


이 코스는 족두리봉의 북릉(향로봉으로 이어지는 능선)상의 송전탑으로 올라가는 길이다. 이정표가 없는 길로서 등산객들이 거의 보이지 않는 한적한 길이다.

구기터널매표소(비봉 2.4km, 불광매표소 2.6km)를 지나면 바로 철다리를 건너고 등산로는 계곡 옆으로 비교적 평탄하게 이어진다.

 

약7분이면 갈림길(↑족두리봉 0.9km, →향로봉 1.4km, ↓구기매표소 0.4km)에 이른다. 여기서 직진하는 길은 족두리봉 또는 각황사로 향하고, 우측길은 탕춘대성을 거쳐 향로봉으로 가거나 불광매표소로 넘어가는 족두리봉 북릉상의 안부로 오를 수 있다.

직진하여 다시 4분이면 이정표(←족두리봉 0.7km, ↓구기매표소 0.6km)를 만난다. 여기에서 직진하면 곧 각황사를 만난다. 대웅전과 요사채가 붙어있는 아주 작은 절이다.

건물 좌측으로 샘터가 있고 여기에서 두 갈래길이 뚜렷하다. 우측길은 따로 오르면 이내 능선에 오른다. 탕춘대성이 맞은편으로 보이는 능선이다. 이제 계속 오르막.

 

능선을 따라 약 15분 정도면 족두리봉 북릉상의 송전탑으로 오른다. 좌측으로 10분 정도가면 족두리봉 바로 아래(독박골입구 1.2km, 불광매표소 1.5km)에 도착하고, 우측으로 4분이면 향로봉으로 가기 직전에 있는 사거리안부(불광매표소1.3km, 족두리봉0.7km, 탕춘대성0.5km, 구기매표소 1.3km)에 도착한다.



【향로봉 코스】

소요시간

구기터널매표소∼(0.4km,7분)∼향로봉갈림길∼(0.4km,7분)∼탕춘대성갈림길∼(5분)∼샘터∼(12분)∼사거리안부(족두리봉에서 향로봉으로 가는 능선)

   : 1.3km, 약31분 소요

(사거리갈림길에서 향로봉길은 탕춘대성매표소 코스 참조 바람)


산행안내

구기터널매표소(비봉 2.4km, 불광매표소 2.6km)를 지나면 바로 철다리를 건너고 등산로는 계곡 옆으로 비교적 평탄하게 이어진다. 약7분이면 갈림길(↑족두리봉 0.9km, →향로봉 1.4km, ↓구기매표소 0.4km)에 이른다. 여기서 직진하는 길은 족두리봉 또는 각황사로 향하고, 우측길은 탕춘대성을 거쳐 향로봉으로 가거나 불광매표소로 넘어가는 족두리봉 북릉상의 안부로 오를 수 있다.

우측으로 접어들어도 여전히 완만한 길이 이어진다. 계곡을 따라 약7분 정도면 또다시 갈림길(불광매표소 1.8km, 비봉 1.7km, 구기터널매표소 0.8km)이 나온다. 여기에서 우측길(비봉 방향)이 탕춘대성(향로봉 남릉)을 거쳐 향로봉으로 가는 길이다. 직진하여 불광매표소로 넘어가는 안부(족두리봉 북릉)로 올라도 역시 향로봉(향로봉의 남서사면)으로 산행이 가능하다. 물론 두 코스는 향로봉 암벽구간 아래(비봉 1.4km, 상명대 1.9m, 119안내판 북서 66-04)에서 만난다.

갈림길에서부터는 약간 경사가 있지만 그렇게 힘들지는 않다. 약5분후 수도꼭지가 달린 샘터에 도착한다. 바로 옆으로 소나무가 운치 있게 자라고 있는 쉬기 좋은 장소가 있다.

여기서부터 길은 가팔라지기 시작해 안부 직전 나무계단길부터는 한차례 된비알을 올라야 한다. 샘터에서 안부(불광매표소1.3km, 족두리봉0.7km, 탕춘대성0.5km, 구기매표소 1.3km)
까지는 약12분 정도 소요된다. 이정표 상의 구기매표소는 구기터널매표소의 오기이다.

안부에서 좌측은 족두리봉, 우측은 향로봉으로 향한다.

한편 탕춘대성으로 가는 길은 「불광매표소 1.8km, 비봉 1.7km, 구기터널매표소 0.8km」이정표에서 우측으로 오르면 약10분후 탕춘대성매표소를 막 지난 지점으로 오른다.

'등산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원/포천의산  (0) 2011.05.25
4월 산행추천지  (0) 2011.03.03
경기/포천.가평.화천등의山  (0) 2010.11.08
관악산 코스  (0) 2010.08.25
백두대간  (0) 2010.02.13